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 

 

근로자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권리를 보호를 받게 됩니다. 근로기준법 상 연차 유급휴가라 명칭 하며, 연차 유급휴가 또한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중요한 권리 중 하나입니다. 연차는 근로기준법에서 명시하는 조건을 충족하여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집니다. 연차휴가 발생 기준과 지급 대상, 미사용 연차에 대한 연차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일하는 모습

 

 

#### 연차휴가 발생 기준 및 지급 대상

 

1) 연차휴가 발생 기준

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휴가 조항에 따르면,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(회사 등)은 근로자에게 연차를 지급해야 합니다.

 

①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 지급

②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 지급

④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 지급,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의 한도는 25일

 

근로기준법

 

 

2) 지급 대상

근로기준법 제55조 휴일 조항 및 제18조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조항에 따라, 근로자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연차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① 상시 5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

② 4주 동안(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)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

 

근로기준법
근로기준법

 

 

3) 정리하자면,

 

모든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지급받는 것은 아닙니다. 상시 근로자가 5인 이상인 사업장에서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만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.

또한 근무기간이나 개근여부에 따라 연차가 다르게 지급됩니다. 1년 미만 근무하고 퇴사하거나 1년간 근무일의 80% 미만으로 출근하였다면 1개월 개근 시 1개의 연차가 발행합니다. 1년 미만 근무자는 최대 11개까지 발생합니다. 1년 미만 근무이기 때문에 마지막 근무 월은 개근이 되지 않으니 연차가 없습니다. 1년 이상 80% 이상 출근한 근로자가 계속 근로를 하게 된다면 1년 이상 3년 미만은 15개, 3년 이상 5년 미만은 16개, 이렇게 2년에 1개씩 증가하게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#### 연차 사용기한

 

근로자에게 주어진 연차휴가는 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해야하며, 그렇지 않은 경우 소멸합니다. 1년 내 사용하지 못한 연차는 수당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 사용자(회사 등)가 근로자에게 유급휴가 사용을 촉진하였음에도 사용하지 않았다면 사용자는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.

예를 들면, 1년 근무 후 1월 1일에 15개의 연차 유급휴가를 받았으나 12월 31일까지 10개를 사용했다면 5개의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사용자가 기한 6개월 전인 6월 1일에 유급휴가가 몇 개 남았으니 모두 사용하라고 했다면 연차수당은 지급되지 않습니다.

 

근로기준법
근로기준법

 

 

#### 연차수당 계산기

 

연차수당 정해진 계산식에 따라 산출됩니다. 

- 연차수당 = 1일 통상임금 x 미사용 연차일수

- 1일 통상임금 = 시간당 통상임금 x 1일 근무시간

- 시간당 통상임금 = 기본급(고정수당, 상여 포함) / 209시간

 

하지만 매번 이렇게 계산할 수는 없겠죠. 연차수당 계산기로 간단하게 계산 가능합니다. 노동OK 사이트에 접속하여 각 항목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계산식과 연차수당이 자동 계산됩니다.

 

 

 

 

연차수당 계산기
연차수당 계산기
연차수당 계산기
연차수당 계산기

반응형